매경TEST 사무국입니다.
해당 부문의 설명에서 '수요량'은 소비자가 재화를 구매하고자 하는 양을 의미한 것으로, 인용하신 다른 교재의 '수요'와 같은 의미로 쓰였습니다.
가이드 본문에서는 대체효과-소득효과에 뒤이어 정상재-열등재를 대등구조로 설명하면서 독자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대체효과-소득효과의 '수요량' 개념을 동일하게 사용하였는데,
임의의 가격에 대한 수요량 변화는 수요 변화 또는 수요곡선의 이동과 같은 뜻이 됩니다.
(실제로 측정할 때는 수요곡선이 아니라 수요량만 관찰 할 수 있으므로
수요변화는 개념적 정의, 수요량 변화는 실증적 정의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.)
다만 정상재-열등재에서 소득 변화에 따른 효과는 그 뒷부분 428p에 서술된 것과 같이 수요곡선 자체의 이동을 야기하므로 엄밀하게는 '수요'의 변화가 맞습니다.
감사합니다.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