매경TEST 사무국입니다.
1. 공통점부터
공통점: 둘 다 “경제를 식히려는 정책”입니다.
즉, 물가가 너무 오르거나(인플레이션), 경기가 과열됐을 때 쓰는 브레이크 페달입니다.
그래서 ‘긴축적’이라는 말을 붙입니다. 즉, 돈의 흐름을 조여 주는 것.
2. 하지만 조이는 방법은 다릅니다.
(1) 긴축적 재정정책 → 정부가 조이는 것
주체: 정부 (재정 = 예산을 다루는 곳)
방법: 정부지출 줄이기 (예: SOC 사업, 복지 지출 축소), 세금 늘리기 (가계·기업이 쓸 돈 줄어듦)
효과: 민간이 쓸 수 있는 돈이 줄어 경제 전체 소비·투자가 줄어듦.
(2) 긴축적 통화정책 → 중앙은행이 조이는 것
주체: 중앙은행 (한국은행, Fed 같은 곳)
방법: 기준금리 올리기 → 대출 이자↑, 돈 빌리기 부담. 시중 유동성 흡수 (채권 매각 등)
효과: 대출·투자가 줄고, 소비도 위축됨 → 경제 열기 식힘.
3. 비유로 정리
경제를 마라톤 뛰는 사람이라고 해봅시다.
정부(재정정책): “오늘 저녁에 줄게 할 보양식(=지출)을 줄이거나, 참가비(=세금)를 더 받아서 네 체력을 좀 억제하겠다.”
중앙은행(통화정책): “네가 달리는 동안 숨통(=돈 빌리기)을 조이겠다. 물(=유동성) 덜 준다.”
둘 다 속도를 늦추게 하지만, 하나는 지갑을 직접 조이고(정부), 다른 하나는 돈의 값(이자)을 올려서(중앙은행) 조입니다.
4. 결론: 둘 다 “긴축”이라는 큰 목적은 같지만,
재정정책은 정부의 예산 조정,
통화정책은 중앙은행의 금리·통화 조정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.
긴축적 재정정책 vs 긴축적 통화정책
공통점: 경제 과열·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 ‘돈의 흐름을 조인다’는 점에서 같다.
차이점:
재정정책(정부) → 정부가 지출 줄이고 세금 늘려서 가계·기업의 ‘지갑’을 직접 줄인다.
통화정책(중앙은행) → 기준금리 올리거나 유동성을 흡수해 돈 빌리기 비용을 높인다.
둘 다 경제를 식히는 ‘브레이크’.
재정정책은 정부가 예산·세금으로 조임.
위와 같이 정리하여 답변 드립니다.
감사합니다.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