매경TEST 사무국입니다.
가격탄력성은 가격의 % 변화율에 대한 수요량의 % 변화율을 측정하는 것입니다.
즉, 수요의 가격탄력성 = 수요량의 % 변화율 / 가격의 % 변화율
수요의 법칙이 성립하면 이 값은 음(-)을 가지므로,
크다, 작다의 의미를 혼동할 수 있지만,
예외없이
이 값이 크다는 것은 '절댓값이 크다'를,
이 값이 작다는 것은 '절댓값이 작다'를 의미합니다.
이 값이 크다는 것은 가격변화에 수요량이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의미로, 이 경우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상대적으로 완만하며,
이 값이 작다는 것은 가격변화에 수요량이 둔감하게 반응한다는 의미로, 이 경우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상대적으로 가파릅니다.
추가로,
판매수입 = 수요량*가격
--> 판매수입 변화율(%) = 수요량 변화율(%) + 가격 변화율(%)
(단, 다른 조건에 변화가 없다면, '판매량 = 수요량'임을 알아두기 바랍니다.)
의 관계는 알아두기 바랍니다.
수요의 가격탄력성 절댓값이 1보다 큰 (탄력적) 경우
가격 인상 시, 가격 인상 비율보다 판매량이 더 큰 비율로 감소하므로 판매수입은 감소하고,
수요의 가격탄력성 절댓값이 1보다 작은 (비탄력적) 경우
가격 인상 시, 가격 인상 비율보다 판매량이 더 작은 비율로 감소하므로 판매수입은 증가합니다.
이를 달리 표현하면, 수요가 가격에 대해 탄력적인 재화의 경우 가격 인하 시 판매수입이 증가하고, 수요가 가격에 대해 비탄력적인 재화의 경우 가격 인상 시 판매수입이 증가한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.
가격탄력성의 수치를 직접 계산할 수 있는지보다
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원리와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
더 중요합니다.
감사합니다.
|